안녕하세요, 주알남입니다.
이번 주 미국 증시는 미중 무역 협상에서의 관세 인하 합의 기대감과 예상보다 낮게 발표된 소비자 물가지수(CPI) 덕분에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제 포트폴리오의 변화와 함께 이번 주 시장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종목 비중 및 수익률
총 수익률은 지난주 대비 +10.32% 상승한 +4.29%를 기록했습니다.
종목 | 비중(변동) | 수익률(변동) |
---|---|---|
TQQQ | 26.75% (-0.29%) | +12.50% (+20.22%) |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 | 15.45% (-0.67%) | +6.68% (+9.98%) |
RISE 미국나스닥100 | 8.84% (-0.51%) | -2.49% (+4.84%) |
ACE 미국S&P500 | 7.56% (-0.58%) | -1.10% (+3.35%) |
SCHD | 7.53% (+1.18%) | -0.49% (+3.94%) |
QQQM | 7.27% (+0.17%) | -2.00% (+6.61%) |
SPLG | 7.06% (+0.44%) | +6.07% (+4.90%) |
IJR | 5.95% (-0.37%) | -9.04% (+4.27%) |
UPRO | 4.64% (+0.20%) | -2.76% (+13.71%)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2.78% (+0.30%) | -4.60% (+2.21%) |
SOXL | 1.89% (+0.11%) | +29.81% (+30.35%) |
TIGER 차이나CSI300레버리지(합성) | 1.57% (-0.14%) | +4.24% (+1.89%) |
TSLL | 1.19% (-0.43%) | +81.83% (+48.39%) |
YINN | 0.38% (-0.02%) | +34.93% (+7.97%) |
LAES | 0.27% (+0.03%) | -11.78% (+9.34%) |
삼성전자 | 매수 | 매수 |
포니링크 | 매도 | 매도 |
종목 리뷰
기술주 및 반도체 ETF (TQQQ, SOXL, TSLL)
미중 무역 협상 진전에 따라 기술주 ETF들이 급등했습니다. 특히 TQQQ는 20.22%, SOXL은 30.35%, TSLL은 무려 48.39% 상승하며 강력한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크게 상승한 TQQQ, TSLL은 조금씩 비중을 줄여가면서 대응하고 있습니다.
중국 관련 ETF (YINN, TIGER 차이나CSI300레버리지)
관세 합의 기대감에 따라 중국 관련 ETF들도 견조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YINN은 7.97%, TIGER 차이나CSI300레버리지는 1.89% 상승했습니다.
포니링크는 오랜기간 지켜보았으나 국내 시장의 자율주행에 관한 변화나 주도주로서의 가능성이 보이지 않아 전량 매도하였습니다. 해당 매도 금액은 국내 반도체시장의 회복을 기대하며 삼성전자를 매수를 하였습니다.
주요 뉴스 및 시장 전망
미중 무역 협상 진전 및 관세 인하 합의
미국과 중국은 스위스 협상에서 관세를 미국 145%→30%, 중국 125%→10%로 대폭 인하하는 데 합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이 높아졌으며, 주 초반 증시가 급등했습니다.
소비자 물가 지수(CPI) 발표
4월 CPI는 예상보다 낮게 발표되어 인플레이션 우려를 완화시켰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관세 부담을 즉각 소비자 가격에 반영하지 않은 결과로 풀이됩니다.
연준 정책 및 정부 발언
연준은 기준 금리를 동결했고,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 노력을 재확인했습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속적으로 금리 인하를 촉구하며 주가 상승을 강조했습니다.
무디스 신용 등급 강등 주 후반 무디스는 미국의 재정적자 확대를 이유로 신용 등급을 한 단계 하향 조정했습니다.
주요 기업 소식
- 엔비디아·AMD: 사우디와 UAE의 AI 데이터 센터 사업 참여 소식으로 강세.
- UnitedHealth Group: CEO 사임 및 메디케어 조사 등으로 큰 폭 하락 후 반등.
- 코인베이스: S&P 500 편입 소식으로 급등 후 SEC 조사 등으로 변동성 확대.
- 월마트: 견조한 매출에도 관세 부담 경고로 우려 확대.
- 애플: 관세 부담 완화 기대와 인도 공장 관련 논란이 공존하며 변동성 지속.
종합 분석
이번 주는 미중 무역 협상 진전과 예상보다 낮은 CPI 발표가 시장 상승의 주요 동력이었습니다. 다만 가파른 상승에 따른 과열 우려와 미국 신용 등급 하락 등 신중론도 제기되었습니다. 이제 수익구간에 접어든 만큼 나스닥 상승시마다 레버리지 상품의 비중을 줄여가면서 수익화할 생각입니다. 다음 주에도 협상 진행 상황과 주요 경제지표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포트폴리오 비중 조절을 통해 시장에 대응할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