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일 주식 가계부: AI 빅테크 실적 랠리 속 레버리지 ETF 폭발적 상승!

2025년 11월 첫째 주, 엔비디아 시총 5조 달러 돌파! S&P 500 6,800 돌파 속 TSLL +13.29%, SOXL +11.60% 폭등. 메타 AI 투자 우려와 연준 매파 경고 완벽 분석.

안녕하세요, 주알남입니다.

2025년 11월 첫째 주 미국 증시는 그야말로 ‘빅테크 실적 위크’였습니다. S&P 500이 사상 처음 6,800선을 돌파하고, 엔비디아가 시가총액 5조 달러를 넘어서는 역사적인 순간들이 연이어 펼쳐졌죠. 미중 무역 합의 기대감과 AI 기업들의 호실적이 시장을 견인했지만, 연준의 매파적 경고와 메타의 AI 투자 비용 우려로 변동성도 함께 확대된 한 주를 상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주요 시장 지수 현황 (2025년 10월 27일 ~ 11월 2일)

S&P500: 6,840.20 🔺 +48.51 (+0.71%)
NASDAQ: 23,724.96 🔺 +520.09 (+2.24%)
DOW: 47,562.87 🔺 +355.75 (+0.75%)
RUSSELL2000: 2,479.38 🔻 -34.09 (-1.36%)
KOSPI: 4,107.50 🔺 +165.91 (+4.21%)
KOSDAQ: 900.42 🔺 +17.34 (+1.96%)

이번 주는 기술주 중심의 강세장이 뚜렷했습니다. 나스닥이 2.24% 상승하며 시장을 주도한 반면, 소형주 지수인 러셀 2000은 -1.36% 하락하며 시장 양극화 현상이 심화됐습니다. S&P 500이 사상 처음으로 6,800선을 돌파하며 연말 랠리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지만, 상승이 일부 대형 기술주에 집중되면서 시장 폭(market breadth)이 좁아진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 비중 및 수익률 변화

총 수익률은 레버리지 ETF와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의 폭발적 상승으로 크게 개선됐지만, 배당·가치주는 조정을 받은 한 주였습니다.

총 수익률은 지난주 대비 +0.6% 상승한 +13.44%를 기록하였습니다.

종목비중(변동)수익률(변동)
SPLG13.84% (-0.20%)+15.59% (-0.35%)
QQQM13.61% (+0.35%)+16.14% (+0.89%)
SCHD13.37% (+0.14%)+1.57% (-1.91%) 🔻
IJR12.38% (-0.27%)+3.93% (-3.88%) 🔻
TSLL8.28% (+0.37%)+58.15% (+13.29%) 🚀
1Q 미국나스닥1008.24% (+0.10%)+12.66% (+2.55%)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7.81% (-0.31%)-2.02% (-2.71%) 🔻 적자전환
1Q 미국S&P5006.42% (+0.20%)+7.81% (+0.55%)
SLDP4.02% (+0.01%)+49.80% (+2.06%)
QS3.54% (+0.25%)+24.69% (+10.15%) 🚀
동아쏘시오홀딩스2.43% (-0.06%)+1.72% (-1.31%) 🔻
SOXL2.30% (-0.49%)+27.96% (+11.60%) 🚀
UPRO1.89% (±0.00%)+13.45% (+1.30%)
TQQQ1.87% (-0.08%)+21.63% (+5.60%)

🎯 주요 변화 포인트

🚀 레버리지 ETF 폭발적 상승!
이번 주의 진정한 승자는 레버리지 상품들이었습니다. TSLL이 +13.29% 상승하며 수익률 +58.15%를 기록했고, SOXL도 +11.60% 상승하며 +27.96%를 달성했습니다. TQQQ 역시 +5.60% 상승하며 +21.63%의 수익률을 보여줬죠. 기술주 랠리를 레버리지로 증폭시킨 전략이 빛을 발한 한 주였습니다.

⚡ QS 또 한 번 급등!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QS가 +10.15% 상승하며 +24.69%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SLDP도 +2.06% 상승하며 +49.80%를 유지하고 있어, 전고체 배터리 섹터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SOXL 전략적 차익실현
SOXL은 +11.60%의 수익률 상승을 기록했지만 비중은 -0.49% 감소했습니다. 이는 급등 구간에서 일부 차익실현을 진행한 것으로, 위험 관리 차원의 전략적 선택이었습니다.

📉 배당·가치주 조정
반면 SCHD(-1.91%), IJR(-3.88%), 동아쏘시오홀딩스(-1.31%) 등 배당·가치주들은 일제히 조정을 받았습니다. 특히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는 -2.71% 하락하며 +0.69%에서 -2.02%로 적자 전환했습니다. 이는 시장 자금이 성장주로 집중되면서 나타난 현상입니다.

🎨 포트폴리오 양극화
이번 주 포트폴리오는 기술주·레버리지 상품과 배당·가치주 간의 극명한 차이를 보여줬습니다. 나스닥 중심의 랠리가 일부 종목에 집중된 시장 구조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 주간 뉴스 요약

10월 27일 (월요일) – 랠리의 시작

  • 시장: S&P 500 사상 최초 6,800선 돌파! (+1.2%, 나스닥 +1.3%)
  • 미중 무역: 트럼프-시진핑 회담 앞두고 ‘매우 성공적인 프레임워크’ 마련 소식
  • 중국 양보: 히토류 수출 통제 1년 연기 예정, 미국 100% 추가 관세 철회 기대
  • 퀄컴: 새로운 AI 칩(AI 200/250) 출시 계획 발표로 11% 폭등
  • 테슬라: 모델Y 유럽 판매 1위 탈환, 캔터 피처스 목표가 510달러 상향으로 4.3% 급등
  • 시장 심리: CNN 공포 탐욕 지수는 여전히 ‘공포’ 단계 유지 (기관 투자자 신중)

10월 28일 (화요일) – AI 랠리 가속

  • 시장: 나스닥 0.80% 상승 주도, S&P 500 6,900선 근접
  • 엔비디아 GTC: AI칩 예약 물량 5,000억 달러 발표, AI 버블 우려 일축
  • 엔비디아 역사: 시가총액 5조 달러 근접, 노키아와 6G 플랫폼 협력
  •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지분 27% 확보 (1,350억 달러 상당) 계약으로 4% 상승
  • SK하이닉스: 3분기 매출 39%, 순이익 119% 폭증, HBM 공급 부족 2027년까지 지속
  • ADP 고용: 주당 평균 14,250명 증가 (4주 평균), 노동시장 침체 우려 완화
  • 소비자 신뢰도: 94.6으로 하락 (6개월 만의 최저치)

10월 29일 (수요일) – FOMC의 날

  • 시장: 혼조세 마감 (S&P 500 보합, 나스닥 +0.55%, 러셀 2000 -0.87%)
  • FOMC 결정: 기준금리 25bp 인하 (3.75%~4.0%) 단행 ✅
  • QT 종료: 양적 긴축 12월 1일부터 종료 발표 ✅
  • 파월 쇼크: “12월 추가 인하는 far from it(결코 확정된 게 아니다)” 매파적 경고
  • 금리 급등: 10년물 국채 금리 4.08%로 10bp 상승
  • 12월 인하 확률: 90%에서 50%대로 급락
  • 엔비디아: 시가총액 5조 달러 돌파 역사적 순간!
  • 구글: 매출·EPS 예상 상회, 클라우드 34% 성장으로 2.5% 상승
  • 마이크로소프트: 실적 호조에도 AI 투자 비용 우려로 -2.9% 하락
  • 메타 급락: 실적은 좋았으나 AI CAPEX 대폭 증가 예고로 -11.3% 폭락 💥
  • 시게이트: 데이터센터 매출 80% 달성, 2027년 수요 가시성 높다며 14% 급등
  • 한미 정상회담: 대미 투자 3,500억 달러 합의, 자동차 관세 15% 인하

10월 30일 (목요일) – 메타 쇼크의 날

  • 시장: 하락 마감 (S&P 500 -0.99%, 나스닥 -1.58%)
  • 메타 여파: AI 투자 비용 우려 확산으로 기술주 전반 하락
  • 미중 정상회담: 펜타닐 관세 20%→10% 인하, 히토류 수출 통제 1년 유예 합의
  • 회담 평가: 1년 시한의 ‘휴전’ 성격, 이미 반영된 재료로 시장 무덤덤
  • 엔비디아 블랙웰: 트럼프, 대중 판매 승인 문제 논의하지 않았다고 밝힘
  • 핵무기 실험: 트럼프, 국방부에 핵무기 실험 시작 지시 발표 (우라늄·방산주 긍정)
  • 치폴레: 연간 동일 전포 매출 전망 세 번째 하향 조정으로 -18% 폭락
  • 유로존 GDP: 3분기 0.2% 성장 (컨센서스 소폭 상회)

10월 31일 (금요일) – 반등의 금요일

  • 시장: 기술주 주도 반등 (나스닥 +1.3%, S&P 500 +0.3%)
  • 아마존 대폭등: 매출·이익 예상 상회, AWS 20% 성장으로 10% 가까이 급등 🚀
  • 애플: 역대 최대 분기 매출, 서비스 15% 급증, 12월 아이폰 두 자릿수 성장 전망
  • 넷플릭스: 10대 1 주식 분할 승인 발표로 2% 상승
  • 연준 매파 총출동: 슈미드·로건·헤맥 총재 등 금리 인하 반대 의견 공개
  • 12월 인하 확률: 60% 약간 넘는 수준까지 추가 하락

📌 다음 주 주목할 일정

📊 경제 지표 발표

  • ISM 제조업·서비스업 PMI: 10월 경기 상황 파악의 핵심 지표
  • ADP 주간 민간 고용 지표: 노동시장 건강성 체크
  • 주의: 정부 셧다운으로 공식 데이터 발표 지연 가능성, 민간 지표에 더욱 주목

🗣️ 연준 인사 발언

  • 파월의 매파적 경고 이후 추가 발언 예정
  • 슈미드, 로건 등 매파 위원들의 연설 일정
  • 12월 금리 인하 경로에 대한 힌트 주목

📈 시장 전망 포인트

  • 11월 계절성: 역사적으로 증시에 우호적인 달, 연말 랠리 기대
  • 시장 폭 확대 여부: AI/매그니피센트 7 집중 현상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관건
  • AI 투자 비용: 메타 사례 이후 다른 기술주들의 CAPEX 동향 주시

💭 종합 분석 및 향후 전망

🎢 빛과 그림자가 공존한 한 주

이번 주 증시는 마치 롤러코스터 같았습니다. 월요일 미중 무역 합의 기대감으로 S&P 500이 6,800선을 돌파하며 환호했고, 엔비디아가 시총 5조 달러를 넘어서는 역사적 순간도 목격했죠. 하지만 수요일 파월의 매파적 경고와 목요일 메타의 AI 투자 비용 폭탄이 터지면서 시장은 급격히 냉각됐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금요일 아마존과 애플의 호실적이 다시 시장을 살려냈다는 것입니다. 이는 현재 시장이 개별 기업의 펀더멘털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메타의 교훈: AI 투자의 양날의 검

메타의 -11.3% 폭락은 AI 시대의 새로운 리스크를 보여줬습니다. 실적은 예상을 상회했지만, 내년 CAPEX 대폭 증가 예고가 주가를 폭락시켰죠. 투자자들은 이제 “AI에 얼마나 투자하는가”보다 “그 투자가 얼마나 빨리 수익으로 전환될 수 있는가”에 더 주목하고 있습니다.

반면 아마존은 AWS 20% 성장이라는 가시적인 성과로 10% 급등했습니다. 같은 AI 투자라도 수익화 시점에 대한 명확한 비전이 있느냐 없느냐가 주가의 운명을 갈랐습니다.

🏦 연준의 줄타기: 12월은 미지수

파월 의장의 “far from it(결코 확정된 게 아니다)” 발언은 시장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10월 25bp 인하를 단행하면서도 12월 추가 인하에 강력한 제동을 건 것이죠. 게다가 슈미드, 로건, 헤맥 등 매파 위원들이 이번 인하 결정에 반대했다는 사실이 공개되면서 연준 내부의 의견 대립이 6년 만에 최고조에 달했음이 드러났습니다.

12월 금리 인하 확률이 90%에서 60%대로 급락한 것은 시장이 연준의 신호를 받아들인 결과입니다. 다음 주 발표될 고용 지표와 PMI가 12월 운명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가 될 것입니다.

📊 포트폴리오 전략: 양극화 시장에서 살아남기

이번 주 포트폴리오는 시장 양극화를 그대로 반영했습니다. 기술주 레버리지 상품들(TSLL +13.29%, SOXL +11.60%, TQQQ +5.60%)이 폭발적으로 상승한 반면, 배당·가치주들(SCHD -1.91%, IJR -3.88%)은 조정을 받았죠.

현재 전략의 강점:

  1. 핵심 보유: QQQM, SPLG 등 대형 ETF로 안정적 기반 유지
  2. 레버리지 활용: 기술주 랠리를 레버리지로 증폭 (TSLL, SOXL, TQQQ)
  3. 테마 포지셔닝: 전고체 배터리(QS, SLDP) 선점으로 미래 수익 확보
  4. 리스크 관리: SOXL 급등 시 부분 차익실현으로 위험 조절

다음 주 전략:

1. 레버리지 비중 관리
TSLL, SOXL, TQQQ가 모두 고수익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추가 상승도 기대되지만,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와 시장 변동성을 고려해 일부 차익실현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TSLL이 +58.15%에 도달했으니 분할 익절도 고려 중입니다.

2. 배당주 저가 매수 기회
SCHD, IJR, TIGER 배당다우존스 등이 일제히 조정받았습니다. 기술주 집중 현상이 지나치다고 판단되면, 이 조정 구간이 장기 배당주 매수의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3. 시장 폭 확대 대비
현재 랠리가 매그니피센트 7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습니다. 11월 계절성과 연말 랠리가 본격화되면 소외됐던 소형주(IJR)와 가치주로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비중 조절이 아닌 홀딩 유지가 현명할 수 있습니다.

4. QS·SLDP 장기 보유
전고체 배터리 섹터는 여전히 초기 단계입니다. 단기 변동성이 크지만, 2027년까지의 장기 전망을 믿고 현재 비중을 유지할 계획입니다.

🎯 11월, 역사는 우리 편일까?

11월은 역사적으로 증시에 가장 우호적인 달 중 하나입니다. 계절성, 연말 랠리, 자사주 매입 재개 등 모든 조건이 갖춰져 있죠. 하지만 이번 주에서 배운 것처럼 시장은 더 이상 일방적인 상승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AI 투자 비용, 연준의 매파적 전환, 시장 폭 축소 등 경계해야 할 리스크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가 5조 달러를 돌파하고, 아마존이 AWS로 증명한 것처럼, AI 혁명의 큰 그림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단기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원칙을 지키며, 기회가 왔을 때 과감하게 움직이는 투자자가 되겠습니다. 여러분도 함께 현명한 투자 여정을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241013 주식 가계부: 반도체 강세와 중국 증시 기대

안녕하세요. 주알남입니다.

이번주 주식 가계부 리뷰입니다.

종목비중 (변동)수익률 (변동)
TQQQ17.93% (+0.23%)+39.14% (+4.61%)
SOXL7.78% (+0.26%)+12.38% (+5.98%)
SPLG10.28% (-0.08%)+7.43% (+1.42%)
SPYD9.09% (-0.76%)+7.02% (+0.22%)
SCHD8.61% (-0.06%)+5.90% (+1.20%)
RSP9.04% (-0.11%)+6.80% (+0.98%)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4.12% (-0.57%)+24.99% (+10.91%)
TIGER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5.08% (+0.24%)+16.59% (+7.78%)
TIGER 인도니프티50레버리지(합성)3.26% (-0.12%)+3.50% (-1.65%)
CONL4.19% (-0.43%)+4.77% (+5.77%)
ACE 미국S&P5004.03% (+0.02%)+3.25% (+2.70%)
ACE 미국배당다우존스3.23% (+0.44%)+2.19% (+1.38%)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1.34% (-0.08%)-7.32% (-3.73%)
메리츠 3X 레버리지 미국채10년 ETN1.43% (-0.09%)-5.63% (-4.19%)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1.50% (-0.06%)-3.48% (-1.48%)
SK하이닉스0.69% (-0.17%)+19.32% (+7.64%)
삼성전자0.88% (-0.17%)-7.89% (-0.03%)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1.96% (+0.03%)-0.84% (+1.84%)
ETHU0.20% (0.00%)-2.13% (+1.91%)
SSO0.32% (+0.04%)+6.07% (+1.72%)
YINN0.20% (신규)+7.40% (신규)
TECL매도매도
총 수익률: +11.40% (+2.71%)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이번 주는 소폭 상승세가 이어진 한 주였습니다. 반도체주의 강세가 두드러져 일부를 매도해 현금화하였고, 중국 증시의 상승을 기대하며 YINN을 소액 신규 편입했습니다. 전체적인 증시 상승세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총 수익률은 +2.71% 증가했습니다.

종목 리뷰

  • TQQQ: 기술주 상승에 따라 수익률이 +4.61% 상승했습니다.
  • SOXL: 반도체주 상승으로 수익률이 +5.98% 상승했습니다.
  • TIGER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 기술주 강세에 힘입어 수익률이 +7.78% 상승했습니다.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반도체주의 상승으로 일부 매도하여 비중을 줄였습니다.
  • YINN: 중국 증시의 상승을 기대하며 신규 편입한 종목입니다.
  • TECL: 기술주 상승세에 수익을 전부 실현하고 매도하여 현금화했습니다.

증시 전망

이번 주 미국 주식 시장은 이스라엘-이란 전쟁과 테슬라의 로봇택시 발표로 주목받았습니다. 미국 증시는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눈치 보기가 이어지는 장세였습니다. 아직은 이스라엘의 추가 대응이 없지만, 만약 이어진다면 대선을 앞둔 미국 정치 상황과 맞물려 증시에도 큰 변동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테슬라는 로봇택시 발표로 완전 자동화된 운송수단을 선보였고, 현장에서 인간형 로봇도 공개하며 테슬라가 그리는 미래가 가까이 왔다는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그러나 주가는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현실화까지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실망감으로 몇 시간 내에 급등 후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습니다.

다음 주에도 이스라엘-이란 전쟁과 한 달 남은 미국 대선 이슈가 계속해서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소폭의 상승세가 이어지고는 있지만, 대선 전까지는 언제든지 큰 변동성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안전 자산의 비중을 확보하는 것이 여전히 유효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240928 주식 가계부: 반도체 강세와 안전 자산 확대

안녕하세요. 주알남입니다.

이번주 주식 가계부 리뷰입니다.

종목비중 (변동)수익률 (변동)
TQQQ16.82% (+0.30%)+30.80% (+1.11%)
SOXL7.34% (-4.93%)+5.54% (+9.92%)
SPLG9.83% (-0.04%)+2.99% (-1.46%)
SPYD8.85% (-0.01%)+4.45% (-1.16%)
SCHD8.21% (-0.08%)+1.46% (-1.99%)
RSP8.72% (+0.01%)+3.15% (-0.87%)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4.80% (-2.45%)+19.29% (+8.04%)
TIGER 인도니프티50레버리지(합성)3.48% (+0.13%)+10.56% (+3.06%)
TIGER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4.76% (+0.09%)+9.39% (+1.08%)
ACE 미국S&P5003.90% (-0.11%)+0.15% (-0.19%)
ACE 미국배당다우존스2.68% (-0.45%)-0.93% (-1.16%)
ACE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3.56% (신규)-1.53% (신규)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1.58% (신규)-0.85% (신규)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1.40% (-0.05%)-2.45% (-4.08%)
메리츠 3X 레버리지 미국채10년 ETN1.49% (-0.02%)-1.63% (-2.90%)
SPYU3.37% (+0.03%)+15.59% (+0.13%)
CONL2.80% (+0.54%)+26.86% (+23.61%)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1.52% (-0.03%)-2.00% (-2.73%)
SK하이닉스0.68% (-0.77%)+21.20% (+17.61%)
삼성전자0.72% (-0.58%)-2.64% (+1.82%)
총 수익률: +8.89% (+1.77%)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이번 주 미국 주식 시장은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이에 따라 제 투자 포트폴리오도 1.77% 상승하며, 현재 수익률은 8.8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주의 강세가 전체 수익률 상승을 이끌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주에는 위험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현금 확보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종목 리뷰

SOXL: 수익률이 플러스로 전환됨에 따라 수익 실현을 위해 분할 매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반도체 관련 수익률이 급등하여 SOXL과 마찬가지로 일부 분할 매도를 통해 비중을 줄였습니다.

CONL: 가상화폐 시장의 상승세 덕분에 수익률이 23.61% 급등했습니다.

SK하이닉스: 반도체주의 강세로 인해 17.61%의 수익률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타겟커버드콜2호: 안전 자산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 신규 매수한 종목입니다.

RISE 200 위클리 커버드콜: 국내 주식시장의 헷징 및 안전 자산 확보 차원에서 신규 매수했습니다.

증시 전망

이번 주에는 마이크론의 깜짝 실적 발표로 반도체가 시장을 주도했습니다. 견조한 실적 덕분에 S&P500 지수는 다시 신고가를 갱신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저는 이와 같은 상승세 속에서 메모리 관련 종목들을 일부 매도해 수익을 실현하고, 현금 보유량을 늘려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에는 PMI 지수와 고용 보고서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비록 금리 인하 사이클에 접어들며 예전만큼 주목받고 있지 않지만, 연준이 고용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만큼, 연말 시장 흐름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240921 주식 가계부: 이번 주 포트폴리오 분석 및 미국 증시 전망

안녕하세요. 주알남입니다.

이번주 주식 가계부 리뷰입니다.

종목비중 (변동)수익률 (변동)
TQQQ16.52% (+0.37%)+29.69% (+5.42%)
SOXL12.27% (-2.76%)-4.38% (+2.20%)
SPLG9.87% (+0.95%)+4.45% (+1.20%)
SPYD8.86% (+0.69%)+5.61% (-1.26%)
RSP8.71% (+0.84%)+4.02% (+1.15%)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7.25% (-0.57%)+11.25% (+5.46%)
SCHD8.29% (+0.79%)+3.45% (+1.16%)
TIGER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4.67% (-0.27%)+8.31% (+3.94%)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1.45% (+0.00%)+1.63% (-1.91%)
메리츠 3X 레버리지 미국채10년 ETN1.51% (-1.86%)+1.27% (-1.66%)
TIGER 인도니프티50레버리지(합성)3.35% (+0.04%)+7.50% (+3.48%)
SPYU3.34% (+0.10%)+15.46% (+5.68%)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1.55% (+0.00%)+0.73% (-1.10%)
CONL2.26% (+0.14%)+3.25% (+7.97%)
SK하이닉스1.45% (+0.02%)+3.59% (-3.76%)
삼성전자1.30% (-0.06%)-4.46% (-2.13%)
ACE 미국S&P5004.01% (-0.52%)+0.34% (+0.39%)
ACE 미국배당다우존스3.13% (-0.39%)+0.23% (+0.94%)
총 수익률: +7.12% (+2.28%)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이번 주 미국 주식시장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전체 자산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총 수익률은 지난주 대비 2.28% 상승해 현재 7.12%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최근 고위험 자산의 비중을 줄이는 동시에 안전 자산의 비중을 점차 늘리고 있습니다.

종목 리뷰

SOXL: 아직 손실 구간에 있지만,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어 분할 매도를 통해 비중을 줄여가고 있습니다.

SPLG, SPYD, RSP, SCHD: 포트폴리오의 안전 자산 비중을 강화하기 위해 이 네 종목을 동일 비중으로 매수했습니다. SOXL 매도분을 활용해 해당 종목들을 추가 매수하며, 안정적인 자산 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

메리츠 3X 레버리지 미국채10년 ETN: 연준의 금리 인하로 인해 채권 비중을 줄이기로 결정해 일부 매도했습니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위험 자산 비중을 줄이기 위해 반도체 레버리지 상품 역시 일부 매도했습니다.

증시 전망

이번 주에는 미국 금리 발표가 있었습니다. 예상과 달리 50bp 금리 인하가 단행되며 ‘빅컷’이 이루어졌습니다. 주식시장은 고용과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긍정적으로 해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금리 발표 후 시장은 큰 변동성을 보였고, 하락과 상승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는 지난주의 급등이 진정되는 흐름입니다.

저는 다음 주에도 상승세가 계속된다면 안전 자산의 비중을 더욱 확대할 계획입니다. 특히 커버드콜 상품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는 것을 고려 중입니다. 다음 주에는 큰 경제 이벤트가 없으므로 기업 실적에 더욱 주목해야 할 시기입니다.

240914 주식 가계부: 고위험 자산 비중 조정과 안전 자산 확대

안녕하세요. 주알남입니다.

이번주 주식 가계부 리뷰입니다.

종목비중 (변동)수익률 (변동)
TQQQ16.15% (+0.88%)+24.27% (+18.38%)
SOXL15.03% (-5.26%)-6.58% (+20.37%)
SPLG8.92% (+1.47%)+3.25% (+2.64%)
SPYD8.17% (+1.23%)+6.87% (-0.38%)
RSP7.87% (+1.21%)+2.87% (+1.31%)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7.82% (-0.10%)+5.79% (+9.19%)
SCHD7.50% (+1.09%)+2.29% (-0.12%)
TIGER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4.94% (-0.19%)+4.37% (+6.70%)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3.39% (-0.15%)+3.54% (-0.37%)
메리츠 3X 레버리지 미국채10년 ETN3.37% (+1.41%)+2.93% (+0.56%)
TIGER 인도니프티50레버리지(합성)3.31% (-0.23%)+4.02% (+3.65%)
SPYU3.24% (+1.16%)+9.78% (+16.96%)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3.20% (+1.44%)+1.83% (-0.18%)
CONL2.12% (+0.17%)-4.86% (+18.27%)
SK하이닉스1.53% (+0.10%)+7.35% (+18.07%)
삼성전자1.36% (-0.31%)-2.33% (+4.89%)
ACE 미국S&P5000.53% (-2.61%)-0.05% (+2.52%)
ACE 미국배당다우존스0.44% (-3.08%)-0.71% (+0.10%)
총 수익률 : +4.84% (+11.7%)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지난주 고위험 자산의 비중을 높였던 결과, 이번 주에는 해당 자산의 상승률이 급등하며 수익 전환을 이루었습니다. 지난주 대비 약 11% 상승하며 4.8%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고위험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안전 자산의 비중을 확대하였습니다.

종목 리뷰

SOXL: 최근 5일간 상승세가 이어졌지만 여전히 손실 구간에 있습니다. 과거 급락장세에서 대량 매수한 종목으로, 위험자산 비중 조정에 따라 일부를 분할 매도하였습니다.

SPLG, SPYD, RSP, SCHD: 포트폴리오의 안전 자산 비중을 늘리기 위해 각 종목을 동일 비중으로 매수하였습니다. 이는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증시 전망

이번 주에는 미국 대선 토론과 CPI 발표가 있었습니다. 최근 이벤트에 따라 시장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경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행히 이번 주에는 상승세가 이어져 지난주 급락에 비해 많이 진정된 모습입니다.

다음 주에는 미국 금리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급격한 변동성이 우려됩니다. 이런 시기에는 분할 매수와 분할 매도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며 안정적인 투자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투자 종목 선택하기

안녕하세요. 주알남입니다.

오늘은 각 투자유형별 종목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먼저 공격형 자금에 대한 종목입니다.

공격형 자금은 시장의 변화를 주시하면서 가장 성장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분야에 투자해야합니다.

현재 가장 핫한 분야는 인공지능과 AI입니다. 로봇이나 바이오, 자율주행 등 수많은 산업이 인공지능과 AI를 바탕으로 커나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분야의 쌀이라 불리는 반도체산업을 하나의 종목으로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커나가는 테크기업들을 대표하는 나스닥도 또다른 종목으로 선택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반도체 분야가 가장먼저 주목받은 뒤에, 테크기업들이 뒤이어 응용분야로 확장되면서 성장세를 이어받을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수는 공격형 자금으로 쓰이기에는 변동폭이 작기 때문에 레버리지를 활용한 종목을 선택했습니다. 레버리지 상품은 큰 수익을 안겨줄 수 있지만, 그에 따른 손실도 커질 수 있습니다. 손실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개인적으로 타이밍 매수/매도 전략을 취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레버리지를 추천하진 않습니다.

SOXL – 반도체 관련 주식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증폭시키는 레버리지 전략을 사용합니다. 이는 해당 지수의 수익률이 상승할 때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수익률이 하락할 경우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TQQQ – 나스닥 100 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증폭시킵니다. 이는 지수가 상승할 때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하락할 경우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2개 종목을 저가 매수 신호가 있을때 마다 구입했고, 지금은 수익구간이라 관망하면서 분할매도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미드필더형 자금에 속한 종목입니다.

미드필더형 자금은 시장상황에 크게 흔들리지 않고, 장기적으로 자산을 늘려갈 수 있는 종목으로 골랐습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서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가장 먼저 미국의 주식상황을 그대로 반영하는 종목을 골랐습니다.

SPLG –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해당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기 때문에 지수 상위 기업인 대형주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경기 상승기에 수익을 그대로 누릴 수 있지만, 반대로 경기침체기의 손실도 그대로 영향을 주게 됩니다.

다음으로 대형주의 시장상황이 좋지 않을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종목을 선택했습니다.

RSP – S&P 500에 속한 모든 기업을 동일 비율로 보유하는 ETF입니다. 미국 상위 기업의 모든 분야에 골고루 투자함으로써 특정주식이나 산업에 편중되는 리스크를 방지합니다.

세번째 고른 종목은 시장상황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지수추종도 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SCHD – 고배당 수익을 제공하는 ETF입니다. 단순히 높은 배당률을 가진 주식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재무 안정성, 수익성, 배당 성장성 등을 고려하여 품질 높은 회사를 선별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수익과 성장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꾸준한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는 종목입니다.

SPYD – S&P 500 지수에 포함된 주식 중에서 높은 배당 수익률을 보이는 주식들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배당 수익률이 높은 대형기업에 투자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익확보에 중점을 둡니다.

미드필더형 자금은 위의 4종목으로 매월마다 꾸준히 수량을 늘려가면서 적립식으로 모아가고 있습니다. 저는 적금이나 달러 같은 현금보다는 주식으로 투자자금을 모아가는 편입니다. 물론 그만큼 손실에 대한 리스크가 있긴 하지만 항상 시장을 따라가고 있어야 자산을 불릴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렇게 투자하고 있습니다.

세번째로 수비형 자금은 바로 현금화 해야 하기 때문에 변동률이 적고, 단기 수익이 좋은 종목을 선택했습니다.

JEPI – 정기적인 배당금과 옵션 전략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통해 투자자에게 수익을 분배합니다. 시장 변동성을 줄이고 소득 생성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분배금을 매월 지급하기 때문에 한달 이상 보유한다면 분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것 처럼, 각각의 자금유형에 맞는 종목을 배치하고 이에 따라 자금 흐름을 만들어냄으로써 시장상황이나 개인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투자를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것이 장기적으로 가져가야할 투자전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글은 종목을 추천하려고 쓴 글이 아닙니다. 제 상황에 맞는 투자전략에 따라 개인적으로 선택한 종목과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실제 예시일 뿐입니다. 투자는 개인의 상황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는 방법을 찾아나가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곳에서 저와 함께 각자 상황에 맞는 투자전략과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만들어갔으면 합니다.